배낭여행 965

플리트비체 숙소 - 호텔 플리트비체 (Plitvice,Croatia)

플리트비체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은 두 종류가 있다. 1) 자그레브에서 당일치기로 오가는 사람과 2) 플리트비체에서 1박을 하며 공원을 돌아보는 사람. 자그레브에서 왕복 5~6시간 거리이기에 당일치기도 좋지만, 상쾌한 아침 공기를 마시며 조용히 공원을 돌아보고 싶은 사람에게는 이 곳에서 1박을 하는 것을 권하고 싶다. 버스에서 플리트비체 국립공원에 내리면 주변에 보이는 것이라고는 나무들뿐이다. 국립공원을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거주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플리트비체에서 1박을 하려면 근처 마을에 있는 민박을 이용하거나 공원안에 있는 호텔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민박이나 호텔이나 예약을 먼저 해두는 것이 좋다. 민박의 경우 버스역까지 픽업을 요청해둬야 찾아가기 쉽고, 호텔의 경우 방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

자그레브 숙소 - Omladinski Hostel (Zagreb,Croatia)

크로아티아의 수도 자그레브는 작고 조용한 도시다. 마켓이나 성당등의 자그레브 주요 스팟들은 걸어서 반나절이면 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옹기종기 모여있다. 나의 자그레브 여행은 1박 2일로 두번째날 점심때 공항으로 이동한 뒤 독일로 아웃하는 일정이었다. 시외버스터미널에서 트램으로 10분 거리인 자그레브 기차역 주변에 숙소를 잡기로 했다. 공항으로 가는 버스가 시외터미널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두번째 날에 시간에 쫓기는 상황을 덜어주기 위해서. 기차역 주변에는 호텔, 호스텔, 민박 등 다양한 숙박시설을 찾을 수 있다. 광장 바로 옆에는 오가는 사람들이 많아서 시끄러울 것 같아 한블럭 안쪽으로 이동했더니 호스텔 몇 개가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발견한 Omladinski 호스텔. 론리에서 평범한 시설에 비교적 저렴한..

프랑크푸르트 숙소 - 빅토리아 호텔 (Frankfurt,Germany)

보통 공항은 도심에서 벗어나서 위치하고 있는 반면, 기차역은 대부분 도시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여행자에게는 낯선 도시에 적응하는데 기차역만큼 좋은 장소도 없다. (우리나라 서울역만해도 위치 훌륭하잖아!) 다른 곳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것은 물론이고, 생필품을 구입할 수 있는 마켓과 다양한 가격대의 숙소들이 밀집되어 있으니까. 프랑크푸르트에서 1박을 하고 공항으로 이동해야 하는지라 중앙역 근처에 호텔을 예약했다. 호텔 빅토리아. 준비시간이 많지 않아 대충 위치와 가격대만 보고 예약한 곳이었는데, 다행히 외관부터 1층 리셉션까지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것이 안심이 된다. 친절한 언니의 도움으로 체크인을 하고 방으로 고고씽. 복도가 그리 넓은 편은 아니었지만 하얀벽, 은은한 조명, 마루바닥 그리고 벽에 걸..

슈투트가르트 숙소 - Ghotel Hotel & Living (Stuttgart,Germany)

한국으로 돌아가기 전에 메칭겐 아울렛에서 쇼핑을 하기로 한지라 크로아티아에서 독일로 나갈 때 슈투트가르트를 도착지로 잡았다. 슈투트가르트 공항에서 지하철을 이용해서 시내로 이동했는데 처음 내 눈에 비친 슈투트가르트는 조용하고 한적한 도시였다. 지하철역에서의 거리를 기준으로 인터넷에서 예약한 숙소 고텔(Ghotel)은 아파트같은 건물에 위치하고 있었다. 1층 리셉션에서 친절한 언니가 우리를 맞이한다. 1층에는 리셉션 외에도 식당과 인터넷 가능한 노트북이 준비되어 있었다. 여행자보다는 비즈니스가 목적인 사람들을 중심으로 하는 숙소다보니 화려하지는 않아도 은근 필요한 것들이 고루 잘 갖춰져 있는 편이었다. 자, 이제 방으로 올라가볼까나? 한 층에 꽤 많은 방이 있다. 대로변에 있어서 시끄럽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바르셀로나 숙소 - 행복했던 기억들, 까사 꼬레아나 (Barcelona,Spain)

바르셀로나에서 함께 여행한 S양을 떠내보내고 나도 숙소를 변경했다. 까사 구르메는 분명 훌륭한 숙소였지만 혼자서 머물면 좀 심심한 구조인데다 경비절감도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택한 곳이 까사 꼬레아나. 이름에서 예상가능한 한국인 민박으로 이 동네 여행하는 사람들에게는 은근 유명한 곳이다. 내가 선택한 곳은 여성 도미토리. 여기 머무는 사람은 분명 한국인 여자일테니 마음에 맞는 사람을 만나 바르셀로나 여행을 흥겹게 마무리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숙소로 가는 첫날 친절한 주인 아주머니께서는 가까운 지하철역까지 마중을 나오셨다. 숙소로 가는 길을 친절하게 설명해 주셔서 혼자서도 잘 돌아다닐 수 있게 길을 익힐 수 있었다. 비슷비슷한 주택가들이 줄지어 서 있는 조용한 골목에 까사 꼬레아나가 있다. 자, 이제..

바르셀로나 숙소 - 맛있는 요리가 있는 까사구르메 (Barcelona,Spain)

뜨거운 태양, 푸른 바다, 맛있는 타파스, 샹그리아, 도시를 가득 채운 옛 사람들의 유산 그리고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사람들까지... 지난 스페인 여행 후, 나는 이 나라에 빠져버렸다. 그리고 언젠가 꼭 이 나를 다시 찾겠노라고 결심했고, 그때 바르셀로나에서는 이 숙소에 다시 머물겠다는 상세한 계획도 세웠었드랬다. 주인장님의 사정상 현재는 운영을 잠시 중단하고 있는 것이 너무나도 아쉬운 곳 바로 까사구르메(Casa Gourmet)이다. 여행을 떠나기 전, 스페인 관련된 책을 읽다가 '스페인은 맛있다.'라는 책을 통해 이 곳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가 바로 까사구르메를 운영하며, 스페인 요리를 배우고, 연구하는 분이시라는 것. 어떻게 운이 좋았는지 나는 바르셀로나에서의 이틀밤을 까사구르메에서 보낼 수 ..

세비야 숙소- 꼬르도바 Pensión Córdoba (Sevilla,Spain)

마드리드에서 당일치기로 꼬르도바를 돌아보고 이동한지라 세비야에 도착했을때는 주변이 어두워져 있었다. 가이드북에서 숙소들이 몰려있는 골목을 찾아낸 뒤, 택시를 잡아탔다. 그리고 골목에 위치한 속소 몇 개를 둘러보고 선택한 곳이 바로 펜션 꼬르도바다. (세비야에 있는 숙소인데 이름이 왜 꼬르도바인지 이유는 알 수가 없다.) 천장이 높고 가운데가 뻥 뚫려있는 구조인데다 바닥과 벽이 타일로 되어 있어서 실내가 서늘하다. 특별히 에어컨을 켤 필요가 없을 것 같다는... 벽에 그려진 화려한 무늬들이 스페인답다. 1층에는 리셉션과 테이블과 의자 그리고 지도와 관광 안내책자들이 놓여있었고 객실은 윗층으로 올라가야 하는 구조였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푸르른 화초(라기 보다는 거의 나무수준)가 정말 많았다는 것이다. 실내에..

마드리드 숙소 - Albergue Juvenil (Madrid,Spain)

스페인에서의 첫날 마드리드에서 머물렀던 Albergue Juvenil. (나의 짧은 스페인어 지식에 의하면 알베르게 후베닐이라 읽고, 젊은 사람들의 숙소. 즉 유스호스텔이란 뜻이다.) 급한 마음에 hostel.com에서 평판이 좋은 곳으로 골라잡았는데 나름 만족스러웠다. 빨간 벽돌의 유럽식 건물이 아니라 회색톤의 돌로 된 외벽이 꽤 현대적이라 입구부터 놀라웠던 그 숙소! 리셉션 앞에는 커다란 배낭을 짊어진 유럽 친구들이 북적북적하다. 리셉션 옆으로는 테이블, 의자, 전화기, 각종 여행자료들이 가득하다. 예약한 방을 배정받고 의자에 앉아 정신을 가다듬는 동안 친절한 리셉션 언니가 체크인 시간까지 특별한 일이 없으면 마드리드 워킹투어에 참여하는 것을 권해준다. 호스텔에 머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마드리드 중심..

대만 여행가이드 북, 단돈 3천원으로 해결!

대만은 한국에서 비교적 가까워 비행시간이 짧고, 동남아 지역보다 항공권이 저렴한데다 동네 물가도 저렴한 편이었다. 거기다 면적이 크지 않아 도시간 이동 시간이 길지 않아서 짧은 일정으로도 다녀오기 좋은 곳이었다. (장거리 여행이라면 하루이틀 스탑오버로도 충분히 돌아볼 수 있을 듯..!) 이러한 대만의 매력이 점점 알려지기 시작한걸까? 중국, 홍콩과 비슷하지만 다른 볼거리가 많고,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은 여행지로 요즘 대만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한가지 팁을 공개해 보련다. 바로 대만 가이드북 공짜로 얻는 방법!! 대만 관광청 사이트에서는 관광 안내 책자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제공되는 자료는 가이드북 뿐 아니라 음식, 쇼핑, 축제 등의 테마 여행에 대한 자료, 타이완 교통카..

[대만] 짧은 여행의 끝, 스치듯 안녕 (Taipei,Taiwan)

2박 3일. 짧은 시간이지만 그냥 무작정 훌쩍 떠나고 싶었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기에 비행시간이 짧은 곳을 중심으로 비행기표가 남아있는 지역을 찾았다. 사람들은 생각보다 부지런해서 대부분 지역의 비행기표는 여기도 매진, 저기도 매진이다. 그러다 찾아낸 곳이 타이페이와 상해. 이미 상해는 세 번이나 다녀왔기 때문에 타이페이로 결정했고 날아왔다. 준비한 것도 없어 하루 일정을 꽉꽉 채워 돌아다닐 수 없었고, 특별히 하고 싶은 것이 있어서 온 것이 아니기에 뭔가 해내지 못해 아쉬운 것도 없었다. 그냥 사원에서 점쳐 본 나의 운세가 좋은 쪽으로만 풀리길 바라며, 비바람속에서도 맛있는 펑리수를 잔뜩 사서 짐에 넣었다는 것이 만족스러울 뿐이다. 때로는 이렇게 아무 욕심없는 여행도 재밌는 것 같다. 느즈막이 일어..